청정 양구 소개
고객센터

대표전화:033-482-0904
모바일:010-2714-9209
E-mail:hanarokok@gmail.com
업무시간 : 10:00 ~ 18:00

(양구펀치볼흰꽃민들레)

입금계좌안내
농협 302-1589-5885-41 김영근
HOME > 청정 양구 소개 > 양구군 소개

  양구군 소개

양구지도

위 치
위치
소재지 경도와 위도의 극점 연장거리
지 명 극 점
양구군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하리 34-5
동경 128° 52' 35"
북위 38° 06' 26"
동 단 해안면 만대리 동경 128° 10' 25" 동서간
27.0km
서 단 방산면 천미리 동경 127° 51' 09"
남 단 남면 원리 북위 37° 59' 54" 남북간
35.5km
북 단 해안면 현리 북위 38° 19' 34"
전 국 강원도 양구군
남면 도촌리 산48
동경 128° 02' 02.5"
북위 38° 03' 37.5"
동 단 경북 울릉군 독도 동경 131° 52' 20"  
서 단 평북 용천군 용천면 마안도 동경 124° 11' 45"  
남 단 제주도 남제주군 마라도 북위 33° 06' 40"  
북 단 함북 온성군 유포면 북위 43° 00' 35"  

양구군은 우리나라 북동부 중앙인 동경 127˚ 52' 35", 북위 38˚06' 26"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에서 북동쪽으로 132Km, 춘천에서 북동쪽 52Km 거리에 있음.

동쪽으로는 인제군, 서쪽으로는 화천군, 남쪽은 춘천시 그리고 북쪽은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북한의 창도군, 금강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어, 소양호와 파로호가 남·서쪽에 있음.

2002년 우리나라의 4극지점인 독도 동단, 평북 마안도 서단, 제주 마라도 남단, 함북 유포 면 북단을 기준으로 한 중앙위선과 중앙경선이 만나는 중앙 지점이 인공위성을 이용한 과학적 측정에 의해 남면 도촌리 산 48번지로 되었음.


면 적

면적

 

 

기 후

일기일수 (단위: 일)

구 분 맑 음 흐 림 강 수 서 리 안 개 뇌 전 폭 풍
2000 234 111 80 140 112 13 13 -
2001 236 107 78 147 146 19 9 -
2002 190 65 88 146 106 19 10 -
2003 187 63 110 141 166 20 12 -
2004 212 53 94 146 157 14 13 -
2005 229 55 86 140 162 16 22 -
2006 197 65 79 217 173 13 32 -
2007 222 68 103 143 188 15 27 -
2008 225 66 76 142 48 15 27 -
2009 181 82 77 136 48 14 9 -
2010 219 109 102 134 56 27 23 -
2011 212 87 75 18 95 18 19 -
2012 204 84 90 16 19 24 16 -
2013 128 116 90 3 65 25 - -
2014 157 98 65 10 31 10 - -
2015 146 93 81 5 18 13 - -


강수량 (단위: mm)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00 14.1 2.9 15.7 38.1 82.8 106.3 141.9 385.2 102.5 8.2 14.6 5.4
2001 7.1 18.2 15.7 13.4 5.4 304.6 493.3 172.7 19.1 83.2 13.0 15.2
2002 50.8 2.2 36.8 127.3 57.5 84.0 228.8 470.1 47.47 62.1 7.7 25.0
2003 14.9 26.5 17.6 140.8 95.7 115.2 251.0 669.0 255.0 32.0 59.8 2.6
2004 6.7 74.1 15.5 70.0 106.0 133.5 461.2 226.5 240.5 6.0 43.5 12.0
2005 0.6 20.5 18.5 77.2 63.5 181.6 381.5 358.0 195.0 24.0 41.0 2.0
2006 25.8 5.5 14.0 85.5 62.5 220.5 702.5 89.0 23.0 77.5 79.0 12.8
2007 5.1 5.8 90.0 33.5 123.0 68.5 195.0 607.7 265.0 20.5 15.0 7.0
2008 3 0.5 10.2 21.1 119.5 89.5 481.3 257 66.7 23.4 18 22.6
2009 0.5 27.5 46.5 61 82.5 202.5 540 233.5 14 49 43 15
2010 29.5 26.5 57.5 66 104 43.5 23.2 460.5 372 33.5 20 19
2011 5.1 29.7 3.1 106.8 90 328.7 699.8 131.3 55.4 19.7 63.6 9.9
2012 2.0 1.0 18.6 116.2 25.4 84.7 203.5 271.9 126.4 66.1 57.1 23.5
2013 15.0 41.1 31.2 43.1 69.3 63.1 729.5 167.9 132.6 13.5 53.1 23.4
2014 10.4 22.1 6.8 25.5 66.6 64.0 117.3 169.9 88.7 60.4 28.6 17.1
2015 8.7 18.1 8.2 79.6 29.5 72.8 321.8 84.7 12.3 53.3 125.5 20.9


기상개황

구 분 기 온(℃) 강수량(mm) 상대습도(%) 일조시간(h) 풍속(m/s)
평 균 최 고 최 저
2000 11.3 24.6 2.4 927.7 59.7 2,182.6 2.6
2001 10.3 16.2 4.3 1,160.9 68 2,080 1.9
2002 10.5 16.7 4.4 1,200 63.2 1,950.6 2.7
2003 10.6 16.7 4.6 1,680.1 67.6 1,820.7 2.8
2004 12.3 18.4 6.2 1,385.5 61.7 1,879.8 2.0
2005 10.2 16.4 4.3 1,363.4 66.3 2,046.7 1.3
2006 11.1 16.7 5.5 1,397.6 67.3 1,871.2 14.8
2007 11.4 17.1 5.6 1,436.1 75.1 1,956.9 0.9
2008 10.8 16.9 4.9 1,112.8 69.9 1,993.7 0.77
2009 10.9 16.9 4.8 1,343.1 73.4 2,011 3.2
2010 11.1 16.1 4.8 1,450.2 70 1,745.2 1.1
2011 10.9 15.9 5.6 1,848.7 69.3 1,997.3 1.1
2012 10.8 15.6 4.5 1,086.9 67.9 1,971.3 1.4
2013 11.1 23.3 5.8 1,267.5 74.9 2,032.3 1.3
2014 12.6 17.3 5.6 764.0 70.4 2,179.6 1.4
2015 12.5 18.0 5.8 820.1 625.0 2,307.8 1.4

 

상 징

  양구 군기  
  군기 새 천년을 맞아 새로 제정된 양구군기는 청정고향의 이미지를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푸르고 맑은 물방울에 양구의 영문 “Y”를 결합하여 형상과 문자의 조합으로 양구 이미지를 극대화 하였으며 그 밑으로 두개의 녹색 사선중 첫번째는 양구(楊口)의 한자인 버드나무잎을 의미하며 싱그럽고 활기찬 기상을 상징하고 있으며 두번째는 양구의 푸른 대지와 풍요로운 삶을 의미하며 자연을 소중히 여기고 가꾸려는 의지를 상징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청정자연을 의미하는 푸른 물방울이 푸른 대지 위에서 튀어오르는 역동적이고 활기찬 이미지를 형상화 한 것으로, 역동하는 양구의 미래를 담고 있다.
     
  양구군 군목 - 주목  
  주목 새 천년을 맞아 새로 제정된 양구군기는 청정고향의 이미지를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푸르고 맑은 물방울에 양구의 영문 “Y”를 결합하여 형상과 문자의 조합으로 양구 이미지를 극대화 하였으며 그 밑으로 두개의 녹색 사선중 첫번째는 양구(楊口)의 한자인 버드나무잎을 의미하며 싱그럽고 활기찬 기상을 상징하고 있으며 두번째는 양구의 푸른 대지와 풍요로운 삶을 의미하며 자연을 소중히 여기고 가꾸려는 의지를 상징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청정자연을 의미하는 푸른 물방울이 푸른 대지 위에서 튀어오르는 역동적이고 활기찬 이미지를 형상화 한 것으로, 역동하는 양구의 미래를 담고 있다.
     
  양구군 새 - 꾀꼬리  
  꾀꼬리 온몸은 황금색이며, 울음소리가 맑고 명량하여 군민의 평화로움을 상징한다. 흔이 앵(鶯)이라 하며, 한자어로 황조(黃鳥)라 한다. 꾀꼬리과 조류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대에 28종이 알려져 있고 유라시아 대륙에는 2만종이 서식하며, 그 중 꾀꼬리만이 여름새로 한국에 온다. 몸길이 25cm이고, 몸은 선명한 황색에 날개와 꼬리는 흑색인데 가장자리는 황색이다. 암컷은 등면이 담녹색을 띠고 가슴에 담색의 세로무늬가 있다. 부리는 적색이다. 어린 새끼는 암컷을 닮았으나 뒷머리의 검은 띠가 담색이고 배에 뚜렷한 세로무늬가 있다. [삼국사기]에 암수가 의좋게 노니는 것을 읊은 “황조가”가 전하며, 고려가요 “동동”에서 4월의 전경을 노래한 대목에 ‘곳고리 새’라 하여 꾀꼬리가 등장하고 있다. 모습이 아름답고 울음소리가 맑고 다양하여 예로부터 시재(詩材) 및 화재(畵材)로 쓰였다. 관상용으로 기르기도 한다.
     
  구군 꽃 - 살구꽃  
  살구꽃 총설 이 꽃은 명랑한 사회생활력을 상징하며 유실수로서 과실은 식용, 씨는 약용으로 쓰이고 꽃색은 단일색으로서 군민의 단결심을 갖게 한다. 살구꽃은 이른 봄에 제일 먼저 피고 잎이 피기전에 꽃만으로 분홍빛을 이루어 온 마을에 평화스러운 풍경을 이룬다. 세설 이른 봄에 피는 꽃으로 군민의 근면성을 상징일시에 일색으로 피는 꽃으로 군민의 단결심을 상징, 유실수이므로 군민의 모든 일에 결실이 있음을 상징하고 살구꽃이 곱게 물들면 평화스러움을 상징한다.
     
  양구군 동물 - 산양  
  산양

산양은 높이 600m 이상 되는 높은 산의 험한 바위 벼랑에서 활동하는 동물로서 군민들의 패기와 활동성을 상징한다. 한낮에는 안전한 바위 벼랑에서 쉬면서 되새김질을 하고 이른 아침과 저녁에 가까운 숲속으로 옮겨 풀을 뜯고 밤에는 안전한 보금자리로 돌아가 잠을 잔다. 먹이는 계절에 따라 바뀌지만 주로 사초과 식물이나 초본류, 나뭇잎 등 50여 가지 이상을 먹이로 한다. 먹이가 적은 겨울철에는 나무 껍질이나 바늘잎나무의 잎, 이끼와 설악산의 경우 낙엽과 조릿대잎을 많이 먹는 것을 볼 수 있다. 산양은 가을철에 짝짓기를 해서 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고 홀로 또는 가족단위의 작은 무리를 이루는데 어쩌다 큰무리를 이루는 때도 있다. 눈이 많이 내리는 날이면 낮은 곳에 2-30마리씩 몰리기도 하고 민가에 내려와 먹이를 찾는 것을 볼

     

 

마스코트
초롱이
  초롱이 양구군의 마스코트는 세계적인 희귀종이며 깨끗하면서도 순수한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금강초롱을 시각화한 것으로 행정기관과 군민과의 관계를 친숙하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심벌마크가 군의 이미지를 추상적이고 상징적으로 전달하는데 반해 마스코트는 대군민 고지 사항, 계몽 활동 군 사업내용 등의 구체적 메시지를 보다 친밀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보조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된다.초롱이2
심벌마크
  양구군 심벌마크는 양구군의 이미지를 대내외에 표출하는 공식적인 상징물로서 양구군의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이 되는 요소이다.

심벌마크가 내포하는 의미는 청정자연을 의미하는 푸른 물방울이 푸른대지 위에서 튀어오르는 역동적이고 활기찬 이미지를 형상화 하고 있다. 청색의 물방울 속에 흰선은 양구의 영문 이니셜 y로 대지를 감싸고 흐르는 맑은 계곡과 약동하는 양구의 미래를 담고 있다.
브랜드마크
  청춘양구 청춘양구 브랜드마크는 세 개의 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획은 양구의 젊음과 혁신,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 따뜻한 군민들을 상징한다.

진취적으로 뻗어나가는 브랜드마크의 이미지는 양구의 현재까지의 발전상과 앞으로의 가능성 모두를 형상화하고 있다. ‘청춘’은 단순한 젊음이 아닌 살아 숨쉬는 양구 그 자체이며, 다양성과 역동성이 공존하는 도시 양구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브랜드
  자연중심 '자연중심' 이라는 브랜드는 국토정중앙, 친환경 자연농업의 중심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양구군의 깨끗한 청정의 이미지와 양구군의 지리적 특징인 국토정중앙의 의미가 모두 포함된 농특산물의 공동 브랜드인 '자연중심'을 만들었다.

'자연중심'이라는 공통브랜드의 컨셉은 맑고 깨끗한 청정지역의 이미지인 "자연"과 국토정중앙의 의미인 "중심"이 서로 결합이 되어 "자연중심"이 되었으며, 자연중심을 감싸고 있는 회오리 바깥쪽의 밝은 붉은색은 '농업인들의 땀과 열정'을, 회오리 안쪽의 노란색은 '풍년으로 벼가 가득찬 황금빛 들녘'을 상징한다. 이 둘이 서로 중심으로 회오리치는 모습은 양구의 역동성을 표현한 것이고 자연중심의 '중'을 기점으로 빨려 들어가는 모습은 전국의 중심이 되겠다는 높은 포부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양구군은 품질 개발·향상·마케팅과 소비 촉진에 집중하고 농업인들은 안심하고 생산에만 전념하고 소비자에게는 깨끗한 친환경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는 모토라 할 수 있다.
  산채로

청정 양구의 건강산채를 지향하는 "산채로"는 자연이 살아 숨쉬는 산지의 싱싱한 산채라는 기본적인 의미를 갖고 있으며, 양구의 신활력사업인 산채클러스터 구축사업을 나타내는 "산채의 길"이라는 두 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음절로 구성된 네이밍은 부르기 쉬우며 기억하기 쉬운 구조로 소비자에게 친근함과 즐거움을 줄 수 있고 가장 중요한 신뢰감 있는 브랜드로서 그 가치를 더할 것입니다.

청정 양구의 통합 산채브랜드인 "산채로"의 디자인은 차별화를 바탕으로 하여 기존의 타 브랜드들과의 네이밍에서부터 우월성을 갖고 있으며 브랜드로고의 그래픽의 형태 또한 땅에서 바로 뽑은 듯한 싱싱함을 소비자가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을 진행하였습니다. 세련된 컬러의 조합과 레이아웃으로 고급스러움과 아이디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것이며 양구의 이미지 상승효과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되어질 것입니다.